티스토리 뷰

콩 농사짓는 마을에 가 볼래요?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284 저마다 맛있게 먹는 밥― 콩 농사짓는 마을에 가 볼래요?안경자 그림,노정임 글,바람하늘지기 기획철수와영희 펴냄,2013.7.12./13000원 아이들은 콩밥을 좋아할까요, 안 좋아할까요. 어른들은 콩밥을 즐겨먹는가요, 안 즐겨먹는가요. 아이들은 콩밥을 딱히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습니다. 아이들은 어른들과 즐겁게 밥을 먹는 자리라면, 콩밥이건 쌀밥이건 팥밭이건 녹두밥이건 옥수수밥이건 감자밥이건 모두 맛있게 먹어요. 아이들은 아이들한테만 주고 어른들은 안 먹는 밥일 때에는, 저희도 맛나게 먹고 싶지 않습니다. 그런데,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아무 밥이나 먹이기도 합니다. 어른들이 매운것 좋아한다면서 아이들한테 섣불리 매운것 먹이라는 사람이 있어요. 어른들이 이것저것 다 먹는다 해서 어금니 아직 안 난 아이들한테 씹기 힘든 것 내미는 사람이 있어요. 아이들한테 무턱대고 고기를 먹여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어요. 가만히 보면, 아이들을 제대로 헤아리지 않고 아무것이나 먹이려는 어른들은 어른들 사이에서도 똑같아요. 어른이라 하더라도 매운것 신것 짠것 단것 못 먹거나 안 먹는 사람들 있어요. 어른이라 하지만 모든 먹을거리를 다 똑같이 먹지는 않아요. 어떤 사람은 달걀이나 닭을 못 먹고, 어떤 사람은 밀가루를 못 먹어요. 사람마다 몸이 달라 아무 밥이나 함부로 먹지 않아요. 이런 삶자락을 찬찬히 살피지 못하는 어른들은 아이들 삶자락 또한 꾸밈없이 마주하면서 따사로이 보듬으려고 하지 못합니다. .. 우리는 대부분 콩으로 만든 간장, 된장, 고추장이 들어간 음식을 하루도 빠짐없이 먹고 있어요. 그러니까 우리는 콩을 날마다 먹고 있는 거예요. 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이렇게 콩을 많이 먹을까요? 우리 나라는 언제부터 콩을 먹은 걸까요? 콩은 어디서 어떻게 기를까요 .. (6쪽) 아침저녁으로 밥을 차리면서 언제나 마당 한쪽 꽃밭에서 풀을 뜯습니다. 시골에서 살아가기에 마루문 열고 마당으로 내려서기만 하면 가장 싱그러운 풀을 뜯을 수 있습니다. 냉장고가 따로 없어도 돼요. 흙땅에서 자라는 풀은 그때그때 먹을 만큼 뜯으면 됩니다. 아침에는 아침풀 뜯고 저녁에는 저녁풀 뜯어요. 먹고 싶은 풀을 골라서 뜯어요. 풀은 뜯긴 대로 다시 잎사귀를 내고, 다시 잎사귀를 내면 새롭게 뜯어서 또 먹습니다. 봄부터 가을까지 흙땅은 가장 맑은 풀밥을 우리한테 내어줍니다. 아이들은 어머니 아버지와 풀밥을 먹습니다. 날풀을 냠냠 잘 씹어서 먹습니다. 어머니 아버지 모두 집 둘레 풀을 즐겁게 뜯어서 먹으니,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풀먹기가 익숙합니다. 아직 어금니 없던 때에는 옆지기와 내가 잘근잘근 씹어서 풀물 흐르는 밥을 먹였어요. 퍽 오랫동안 풀을 갈아서 풀물을 마시도록 하기도 했어요. 때때로 고기를 장만해서 먹기는 하지만, 여느 때에는 따로 고기를 밥상에 올리지 않아요. 꼭 고기가 있어야 아이들이 잘 큰다고 느끼지 않아요. 아이들은 어버이가 사랑을 담아 지은 밥을 맛있게 먹을 때에 무럭무럭 크면서 사랑을 물려받는다고 느껴요. 그러고 보면, 밥뿐 아니라 책도 그렇고, 학교교육도 그렇습니다. 더 많은 그림책이나 동화책을 읽혀야 하지 않아요. 아이들을 학교나 학원에 오래 보내면 더 잘 배우지 않아요. 아이들은 어른한테서 꿈을 배울 수 있을 때에 기뻐요. 아이들은 어른한테서 삶을 배우고, 사랑을 배울 적에 즐겁습니다. 꿈이 없이는 하루하루가 재미있지 않습니다. 삶이 없는 놀이란 손재주가 될 뿐입니다. 사랑이 없다면 이야기를 오순도순 나누지 못해요. 밥도 교육도 사랑으로 가꿉니다. 마을도 집도 꿈으로 일굽니다. 학교도 이야기도 삶으로 지을 수 있어요. .. 같은 밭에 같은 작물을 계속 심지 않고 번갈아 심는 것을 ‘돌려짓기’라고 해요. 왜 돌려짓기를 할까요? 여러 해 동안 같은 작물을 심으면 땅의 영양분이 고갈되고 병충해가 축적되어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 (27쪽) 밥상에 김치 한 점 있어도 됩니다. 밥상에 된장국 한 그릇 있어도 됩니다. 밥상에 간장 한 종지 있어도 돼요. 반찬 가짓수는 대수롭지 않아요. 안경자 님 그림과 노정임 님 글로 이루어진 그림책 《콩 농사짓는 마을에 가 볼래요?》(철수와영희,2013)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아기자기한 콩 이야기 그득 펼치는 그림책을 가만히 읽으며 생각합니다. 이 예쁜 그림책을 이 나라 아이들만 읽을까요. 우리 어른들은 이 고운 그림책을 아이들한테만 읽히려는지, 아니면, 이 나라 어른들 스스로 콩이 무엇이고 콩이 어떤 먹을거리인지를 헤아려 보려고 이 책을 함께 읽을는지요. 예부터 한겨레가 콩을 즐겁게 먹은 까닭은 무엇이었을까요. 콩이 몸에 좋다고 여겼기 때문일까요. 콩 아니고는 딱히 먹을거리 없었기 때문일까요. 콩이 씨앗 뿌려 거두기 수월하기 때문일까요. 아마 이런 까닭 저런 까닭 있었을 텐데, 옛사람은 콩을 즐겨먹더라도 콩만 먹지는 않았으리라 생각해요. 콩과 함께 쌀을 먹고, 쌀과 함께 보리를 먹으며, 보리와 함께 수수와 서숙을 먹어요. 수수와 서숙이랑 나란히 율무를 먹고, 율무와 나란히 깨를 먹었겠지요. 단군 이야기에 나오듯이 마늘과 쑥을 참 오랫동안 먹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마늘과 쑥만 먹었겠습니까. 미나리도 먹고 부추도 먹으며 갓도 먹었겠지요. 돗나물도 먹고 비름나물도 먹으며 환삼덩굴도 먹었겠지요. 갈퀴덩굴도 먹고 칡잎도 먹으며 머루잎도 먹었겠지요. 씀바귀도 고들빼기도 모시잎도 모두 즐겁게 먹었으리라 생각해요. 들에서 나는 모든 풀을 골고루 먹었으리라 생각해요. 가리는 풀이 없이 모두 밥이 돼요. 따지거나 꺼리는 풀이 없이 모두 싱그러운 밥이 됩니다. 하얀 찔레꽃잎뿐 아니라 푸른 찔레잎도 먹어요. 풀잎과 풀줄기와 풀뿌리는 저마다 다르게 우리 몸으로 스며들어요. 꼭 쌀밥에 고깃국을 먹어야 배부르지 않아요. 풀과 나무가 우거진 숲에 흙과 나무로 지은 조그마한 집에서 태어나 살아온 옛날 옛적 시골사람은 조금 먹고 조금 쓰며 조금 누리는 가장 수수하면서 가난한 삶, 이러면서 가장 즐겁고 빛나는 사랑을 물려주고 물려받았으리라 생각해요. 콩 한 알이란, 바로 이 즐겁고 빛나는 삶을 곱게 밝히던 곡식 가운데 하나였겠지요. .. 오늘은 두부를 만드는 날이에요. 콩 마을에서는 가을걷이를 다 끝내고 나면, 두부를 만들어 나누어 먹어요. 쌀쌀한 날씨에 햇콩으로 만든 따끈한 두부를 먹으면 참 맛있답니다 .. (32쪽) 밭에서 풀을 뽑는다고 하지만, 곰곰이 따지면 따로 풀뽑기를 하지 않습니다. 어느 풀이든 밥이 되기 때문입니다. 모시풀로는 옷을 짜는 천을 엮는 실을 얻어요. 모시풀이 쑥쑥 자란다고 함부로 베지 않아요. 다른 풀로도 바구니를 짜고 둥구리를 엮어요. 대잎으로도 바구니를 엮어요. 버리는 풀이나 쓸모없는 풀이란 있을 수 없던 지난날 시골살이입니다. 그러니, 먼 옛날 시골마을에서는 따로 ‘돌려짓기’ 같은 흙일은 없었으리라 느껴요. 돌려짓기를 해야 했다면, 땅임자인 임금님이나 사대부나 양반 같은 권력자들 등쌀 때문이었겠지요. 나라에서 바치라 하는 세금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돌려짓기를 하기도 했을 텐데, 시골사람 스스로 먹는 풀과 곡식은 구태여 돌려짓기를 안 해도 돼요. 생각해 봐요. 요즘 사람들이 일컫는 ‘잡초’는 어느 땅에서건 해마다 무럭무럭 잘 자라요. 잡초는 스스로 ‘돌려나기’를 하지 않아요. 왜 그러할까요? 왜 잡초는 ‘돌려나기’를 안 하고 한 해에도 두어 차례 씨앗을 새로 내어 다시 돋기도 할까요? 잘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는데, 여느 풀은 혼자 자라지 않아요. 여느 풀은 수많은 다른 풀하고 얼크러져서 자라요. 이 풀 저 풀이 함께 자라지요. 그러니, 여느 풀은 ‘돌려나기’를 하지 않아도 해마다 같은 자리에서 씩씩하게 돋습니다. 우리 집 꽃밭에서 스스로 돋는 ‘나물이 되는 풀’도 우리는 그저 뜯어서 먹기만 할 뿐이지만, 해마다 싱그럽고 씩씩하게 아주 잘 돋아요. .. 풀과 나무들은 흙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고, 사람과 같은 동물은 그 풀과 나무에서 나오는 먹을거리를 먹으며 살아요. 흙이 있어서 식물과 동물이 살아갈 수 있는 거예요. 작물을 땅에 심어 직접 기르는 농부는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지요. 흙의 생태를 이해하면 자연스럽게 농약은 덜 쓰고, 썩지 않는 쓰레기는 버리지 않으며, 흙을 건강하게 만들 방법을 생각하게 되지요 .. (40쪽) 저마다 맛있게 먹을 밥입니다. 시골서 살든 도시서 살든 누구나 맛있게 먹을 밥입니다. 쌀밥도 콩밥도 맛있게 먹을 노릇입니다. 된장도 청국장도 고추장도 맛나게 누릴 노릇입니다. 단단한 두부가 되든 말랑한 두부가 되든, 서로서로 웃으면서 먹을 노릇이에요. 어느 씨앗재벌이 함부로 유전자 건드리면서 망가뜨려도 되는 콩이나 곡식이 아니에요. 밥을 먹는 사람들 누구나 텃밭을 마련하거나 꽃그릇에 콩씨를 심으면서 한 끼니 밥이라도 스스로 콩알을 거둘 노릇이에요. 아이들도 ‘콩 관찰일기’를 쓰고, 어른들도 ‘콩 텃밭일기’를 쓸 노릇입니다. 즐겁게 태어나 살아가는 이 땅에서 즐겁게 누릴 밥 한 그릇을 생각할 노릇입니다. 서로서로 사랑으로 어깨동무할 때에 아름다운 이 지구별에서, 참말 아름답게 함께 나누는 밥 한 그릇을 어떻게 지어서 나눌 때에 활짝 웃을 만한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시골사람도 흙땅에 섣불리 농약이나 비료나 항생제 따위를 뿌려서는 안 됩니다. 도시사람도 고속도로 달리며 쓰레기 아무 데나 버려서는 안 됩니다. 시골사람도 이제는 비닐농사나 비닐집농사에서 벗어날 만큼 슬기를 빛내야 합니다. 도시사람도 소비만능 물질문명에서 차츰 벗어날 만큼 생각을 밝혀야 합니다. 돈이 되는 농사 아닌 삶을 빛내는 흙일로 거듭나야 아름답습니다. 돈만 버는 회사일이나 공장일이 아니라 삶을 가꾸는 착한 일거리를 찾아야 아리따워요. 좋은 밥 함께 나눌 때에 평화라 하면, 좋은 콩 함께 심으며 거둘 때에 시나브로 평화가 찾아와요. 좋은 밥 서로 나눌 적에 민주요 평등이라 하면, 예쁜 콩 같이 돌보며 흙을 만지면서 천천히 민주와 평등이 뿌리내려요. 도시에서도 길가에 애먼 서양꽃 심느라 돈 퍼붓지 않기를 빌어요. 도시 길가에도 콩알 심어 콩꽃을 보며 콩꼬투리 맺히면 누구나 조금씩 콩알 나누어 가져서 콩밥 맛나게 지어 먹을 수 있기를 빌어요. 초·중·고등학교 울타리 둘레에도 콩알 심으면 예뻐요. 학교나 관청에 주차장 늘리지 말고 텃밭을 마련해서 콩도 심고 무도 심으며 배추도 심으면 좋아요. 자동차로만 달리는 이 땅이 아니라, 두 다리로 씩씩하게 거닐면서 두 손으로 흙을 아낄 수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신나는 두레가 이루어집니다. 4346.7.4.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날마다 먹고 있는 콩에 대해 알콩달콩 알아봐요

콩은 우리 주식인 쌀밥과 무척 잘 어울려요. 쌀과 콩은 서로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 주기 때문에 함께 먹으면 균형이 아주 잘 맞습니다. 그래서 우리 밥상에는 콩이 빠지는 날이 없지요.

후룩후룩 밥 말아서 먹는 구수한 된장국, 간장 넣고 조물조물 무친 나물, 오이나 풋고추를 푹 찍어서 먹는 고추장, 또 두부조림, 콩나물무침도 다 콩으로 만든 거예요. 우리는 대부분 콩으로 만든 간장, 된장, 고추장이 들어간 음식을 하루도 빠짐없이 먹고 있는 거예요. 이렇게 벼 못지않게 중요하고 많이 먹는 작물이 바로 콩이랍니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식량작물이란 것을 잘 알고 있으면서 정작 콩에 대한 지식과 정보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아요.

이 책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왜 이렇게 콩을 많이 먹는지, 언제부터 콩을 먹었는지, 콩은 어디서 어떻게 기르는지, 장은 어떻게 담그는지, 다른 콩 음식에는 무엇이 있는지, 건강한 콩을 미래에도 먹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콩의 모든 이야기들을 담고 있어요.

1부 그림책 콩
콩은 무엇일까요
쌀밥과 무척 잘 어울리는 콩
우리나라 사람들은 언제부터 콩을 먹었을까요
콩은 어떻게 기를까요
콩밭에서 만난 동물과 식물
논두렁과 밭두렁에도 콩을 심어요
두부도 만들고 메주도 쑤어요
콩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우리 문화
관심을 가져야 할 오늘날의 콩
미래에도 건강한 콩을 먹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2부 도감 콩과 식물

콩과 식물의 특징

콩과 풀
나비나물 / 돌콩 / 매듭풀 / 살갈퀴 / 새팥 / 얼치기완두 / 자운영 / 자귀풀 / 토끼풀 / 활나물

콩과 나무
등나무 / 박태기나무 / 싸리나무 / 아까시나무 / 자귀나무 / 칡 / 회화나무

체험, 나도 농부!

참고 도서

댓글